본문 바로가기
금융,경제/경제용어 공부

PER이란?PBR이란? ROE란? 이건 알고 주식하지 뭐

by 아침에먹은시리얼 2023. 6. 23.
728x90

 

오늘 장이 아주 그냥 박살난 기업들은 잘 박살나고 오를껀 또 잘 오른 날이었죠?

제 누보 친구는 아주 박살이 나더군요...차트가 깨져서 일부 익절하고 나머지 기대감 만큼 들고 있습니다.

주식하면 PER, PBR, ROE 많이 보셨을텐데요, 사실 이 지표들이 절대적인 지표는 아닙니다.

다만 주식을 고를때 기본적으로 이정도는 봐주면 이 주식이 싼건지 비싼건지 정도는 알 수 있어요.

이게 절대적이라면 세계적인 기업들 다 고평가죠 뭐 :)

참고적이다라는 걸 알아주시고 해보겠습니다!!

 

1. PER(자기 자본 이익률)

퍼라고 불리는 PER은 자기 자본 이익률로 쉽게 예를 들어

내 기업이 1년에 100만원을 순이익으로 갖고 시총이 100만원이라면 PER은 1이 됩니다.

만약 1년에 100만원 순이익을 버는 기업이 시총이 1000만원이라면 PER는 10이 됩니다.

즉, PER가 높을수록 현재 주가는 기업의 순이익 대비 고평가 되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으며

미래에 그 PER가 1이 되도록 돈을 벌겠다 싶으시면 지르시고 그때까지 보유하시면 됩니다!!

2. PBR(주가순자산비율)

PBR은 주가순 자산비율로써 이것도 예를 들면

내 기업이 가진 부동산, 현금, 채권 등등 합쳐서 100만원을 들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 기업의 시가 총액이 100만원이라면

주식의 가치 = 기업이 가진 자산 가치 -> PBR = 1이 됩니다.

만약 시가총액이 1000만원이 된다면 PBR = 10 이 되는겁니다.

근데 시가 총액이 10만원이라면 PBR = 0.1이 되고 아마 주주들한테 욕을 많이 먹겠죠?

전 PER보다 PBR을 좀 더 신뢰하는 편인데 0.x 라면 주식이 저평가 되어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그만큼 소외주일수도 있고 회장님이 주가부양을 안한다는 소리일 수 있으니 참고합시다!!

 

3. ROE [%] (자기자본수익률)

마지막으로  ROE는 자기자본수익률로 ROE를 보시면 기업이 가진 자본으로 얼만큼 이익을 내는지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 기업이 100만원을 가지고 10만원을 벌었으면 ROE는 10%가 되는겁니다.

매우매우 쉽죠?

 

이렇게 용어를 알아봤는데요 이 정도는 알고하면 좋을꺼같아요!!

 

728x90
300x25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