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경제/경제용어 공부2 유상증자 호재일까? 무상증자 악재일까? 이번 주제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가 무엇인지? 과연 어떤게 시장에서 호재로 작용할지에 대해서 적어보겠습니다!! 이것저것 하느라 바쁘게 되서 이제야 글을 올리네요ㅠㅠ 주식을 하면서 종목을 가지고 있다보면 유증과 무증에 대해서 한 번쯤은 듣게 되는데요 공시 한번에 상한가를 가는 경우도 생기고 폭락해버리는 경우도 생기는데, 뭔지는 알고 맞아야 좀 덜 아프겠죠?? 1. 유상증자란? 유상증자란 회사가 자금이 필요해서 주주로부터 도움을 요청한다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주식을 더 발행하고 신주를 주주 및 3자에게 일정 금액에 판매하여 얻은 자금으로 목적에 맞게 사용하게 됩니다. 기업은 자금조달을 목적으로 여러가지 행동을 취할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1) 금융권 또는 사채권자에게 돈을 빌린다. 2)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를 .. 2023. 7. 7. PER이란?PBR이란? ROE란? 이건 알고 주식하지 뭐 오늘 장이 아주 그냥 박살난 기업들은 잘 박살나고 오를껀 또 잘 오른 날이었죠? 제 누보 친구는 아주 박살이 나더군요...차트가 깨져서 일부 익절하고 나머지 기대감 만큼 들고 있습니다. 주식하면 PER, PBR, ROE 많이 보셨을텐데요, 사실 이 지표들이 절대적인 지표는 아닙니다. 다만 주식을 고를때 기본적으로 이정도는 봐주면 이 주식이 싼건지 비싼건지 정도는 알 수 있어요. 이게 절대적이라면 세계적인 기업들 다 고평가죠 뭐 :) 참고적이다라는 걸 알아주시고 해보겠습니다!! 1. PER(자기 자본 이익률) 퍼라고 불리는 PER은 자기 자본 이익률로 쉽게 예를 들어 내 기업이 1년에 100만원을 순이익으로 갖고 시총이 100만원이라면 PER은 1이 됩니다. 만약 1년에 100만원 순이익을 버는 기업이 시.. 2023. 6. 23. 이전 1 다음